리딩지저스 16주차 6일

욥기 36장은 엘리후의 세 번째 연설로 하나님의 정의에 대한 두 번째 변호입니다. 엘리후는 죄를 교정하시기 위해서 고난을 주시는 하나님에 대해서 변호합니다. 엘리후는 하나님께서 고난을 주시는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허물과 교만함을 깨닫고 죄악에서 돌이키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엘리후는 하나님의 크심에 대해서 창조 세계를 통해서 하나님을 변호합니다.

욥기 37장은 엘리후가 하나님을 향한 소송을 철회할 것을 욥에게 요청합니다. 그러나 사실 엘리후가 말하는 것을 욥이 모르는 것이 아닙니다. 욥은 하나님을 상대로 소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 인격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묻지도 말라고 하지 않으십니다.

욥기 38장은 하나님의 첫 번째 변론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욥에게 질문을 던지십니다. 욥의 친구들의 질문과 수준이 달랐습니다. 왜냐하면 창조주 하나님 당사자의 질문이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욥의 고난의 문제에 무관심한 분이 아니십니다.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더불어 하나님의 섭리는 여전히 작동중입니다. 욥은 자신의 지혜의 한계를 다시금 인식해야 합니다.

욥기 39장은 하나님께서 동물의 세계를 주관하고 다스리고 계심을 이야기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지혜로 세상을 조화롭게 다스리고 운영하고 계십니다. 그 안에는 다양한 등장인물들이 있습니다. 죄 때문에 벌 받는 사람들도 있으며, 욥처럼 의로운 고난을 받기도 하고, 악인의 형통과 번영도 볼 수 있는 복잡한 세상의 모습을 보게 됩니다. 이해할 수 없는 순간에도 우리는 하나님의 통치와 돌보심을 인정하고 기억해야 합니다.

욥기 40장은 하나님의 두 번째 변론입니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공의에 대해서 욥에게 질문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욥을 정죄하는 것이 아니라 욥이 고난을 통해서 깨달은 것들을 보고 듣고 알고 싶어하셨습니다. 우리의 자아가 작아질 때 하나님의 크심을 경험하게 됩니다.

욥기 41장은 하나님께서 리워야단을 통치할 수 있는 분은 오직 하나님 한 분이심을 이야기합니다. 우리 인간은 통제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피조물인 자신을 인식해야 합니다. 통치하시고 통제하시는 하나님 앞에서 우리는 교만함을 내려놓고 겸손해야 합니다.

욥기 42장은 하나님의 질문 앞에 욥이 대답합니다. 욥은 하나님 앞에서 회개하며 귀로만 듣던 하나님을 눈으로 보게 됩니다. 귀의 지식에서 눈의 지혜를 경험합니다. 욥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서 아름다운 해피엔딩을 맞이하게 됩니다. 욥은 마음에 상처를 준 친구들을 위해서 기도합니다.

리딩지저스 16주차 6일을 묵상하면서 하나님의 지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지 않고서는 가까이 갈 수 없음을 상기합니다. 인간 중심의 지혜가 노출하는 위험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지혜를 경험하지 못하도록 막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죽음을 지배하시는데 죽음에 대한 궁극적 승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의 승리를 통해서 나타납니다. 지혜와 능력은 모두 하나님께 속한 것이지 사람에게 속한 것이 아닙니다.

인간의 정의는 불완전하며 모든 것은 하나님의 공의로부터 출발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의 깊이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완전히 계시됩니다. 하나님께서는 리워야단과 사탄 모두 통치하고 다스리십니다. 하나님 앞에서 통제불가한 것은 없습니다. 사탄에게서 승리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승리를 묵상할 때 우리 인간은 고통과 불의로 인해서 좌절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최종적으로 승리하게 됩니다. 욥은 하나님과 하나님의 지혜 안에서 만족합니다. 우리 인간의 최종적인 만족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발견하게 됩니다. 욥이 고난 후에 경험하게 된 하나님께서 주신 결말은 예수 그리스도가 고난 당하신 뒤에 얻게 될 승리를 예표합니다. 바라기는 오늘 하루 고난 너머 하나님의 승리를 깊이 묵상하시는 하나님의 백성들 되시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Previous
Previous

주의 손이 함께 하시는 인생

Next
Next

온유한 설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