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지저스 16주차 1일

욥기 1장은 욥의 가정에 대한 소개입니다. 하나님의 칭찬 받는 가장 욥의 모습을 사탄이 고발합니다. 고발의 이유는 까닭 없이 욥이 하나님을 경외할 리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욥의 믿음의 순전함을 드러내길 원하십니다. 욥은 큰 불행과 재난으로 사탄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욥은 주신 분도, 가져가신 분도 하나님이라는 신앙을 고백합니다.

욥기 2장은 사탄의 공격과 시험에도 끝까지 순전함을 지킵니다. 욥은 하나님의 칭찬에도 불구하고 몸까지 공격을 당합니다. 그러나 사탄은 욥의 목숨을 거두어 갈 수는 없었습니다. 사탄은 아내까지 공격의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욥을 위로하기 위해서 친구들이 찾아왔습니다. 7일 동안 침묵하며 애통하며 욥을 위로했습니다.

욥기 3장은 욥이 7일의 침묵을 깨고 자신의 생일을 저주했습니다. 욥도 사람입니다. 극심한 고통 앞에서 두려움 속에서 애통하며 절규합니다. 욥의 고통의 깊이는 타인이 헤아릴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습니다. 공감이라는 말로 쉽게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지 않아야 합니다.

욥기 4장은 욥을 향한 친구들의 충고가 시작됩니다. 엘리바스로부터 시작합니다. 욥의 경건이 어디 있느냐고 묻습니다. 고난 속에 있는 욥을 정죄하는 충고는 욥에게 큰 상처를 줍니다. 충고한다는 명목 아래 너무나 쉽게 단정해서는 안 됩니다.

욥기 5장은 엘리바스가 욥을 향해서 계속해서 고난 중에서 분노하지 말라고 합니다. 그러나 사실 욥은 탄식한 것이지 원망과 분노를 한 것이 아닙니다. 욥은 하나님께 자신의 마음을 토한 것입니다. 엘리바스는 고난은 사람의 죄 때문이라고 단정합니다. 궁극적으로 세상의 모든 고난의 원인이 아담의 죄로부터 시작된 것이지만 우리 인생에 일어나는 모든 고난을 죄 때문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엘리바스의 욥을 향한 충고는 정죄가 되었습니다. 모든 고난이 죄에 대한 징벌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욥에게 고난이 찾아온 것입니다.

욥기 6장은 엘리바스의 말에 대한 욥의 응답입니다. 욥은 고통의 크기가 너무 커서 탄식한 것입니다. 하나님께 마치 공격을 받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고난 속에서 하나님이 우리를 공격한다고 느껴서는 안 됩니다. 공격하는 자는 따로 있습니다. 영적 전쟁의 현장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묵상해야 합니다. 욥이 원하는 것은 가르침이 아니었습니다. 욥에게 필요한 것은 위로였습니다.

리딩지저스 16주차 1일을 묵상하면서 욥이 경험한 고난과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영광을 예표함을 보게 됩니다. 욥은 죄 없는 완전한 사람은 아니지만 의로운 인물로서 죄 없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예표합니다. 사탄은 하나님의 백성을 참소하는 자로서 그리스도인의 가정을 공격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구속에는 불의한 자들을 의롭다 함으로써 불경건한 자들을 경건한 백성으로 삼으심으로써 사탄의 참소에 최종적으로 대응하는 일도 포함됩니다. 욥은 사탄의 참소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으나 하나님을 전적으로 신뢰합니다. 욥은 보는 것으로 행하지 않고 믿음으로 행하는 모든 사람의 표본이 되었습니다. 사람이 되신 그리스도는 하나님을 완전히 신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영광과 자기 백성의 성화를 위해 심지어 사탄의 공작도 사용하십니다. 하나님은 사탄이 욥의 생명을 취하는 것을 허락하시지 않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리스도가 죄인의 손에 죽임을 당하도록 허락하십니다. 그것은 사탄에 대한 승리인 동시에 하나님의 이름으로 전적으로 신뢰하는 모습입니다. 극심한 고난은 삶의 모든 의미를 무력화하기도 합니다. 고난과 죽음의 결과는 타락의 결과입니다. 문제는 예수 그리스도가 당하신 고난과 부활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해결됩니다. 엘리바스는 하나님이 의인을 보호하시는 것을 보편법칙처럼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죄 없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둘러싼 비밀은 엘리바스의 추론이 피상적임을 보여줍니다. 엘리바스는 자신이 사탄과 같이 하나님의 백성을 참소하는 악한 영을 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순전하심으로 입증되듯이 사람이 깨끗할 수도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칭의를 통해 자신의 의를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주십니다. 욥이 겪는 고통은 친구들로 인해 가중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가룟유다에게 당하신 배신과 제자들에게 버림당하신 사건을 생각하게 됩니다. 바라기는 오늘 하루 욥의 고난과 고통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십자가의 고난과 죽으심과 부활을 깊이 묵상하며, 고난 속에서 하나님의 선하심을 깊이 묵상하시는 하루가 되시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Previous
Previous

기도의 나비효과

Next
Next

혜성처럼은 없다